중량을 올리는게 생각보다 정말 어려운건데...-_-;;

2023-03-27 15:51:36
 




이게 중량이라는게 사람마다 어느정도 태생적인 깜냥? 이라는게 있어서

웨이트 2~3년차만되어도 아 얘는 한계치가 어느정도겠구나 각이 좀 보이는거같애요?

뭔가 전문적으로 파워리프팅식 스트렝스 훈련을 하지않는이상요..


그런데 유튜브보면 허구헌날 중량중량 타령하면서 하나더들수있짜나~~ 이러는 유튜브도 있고

웨이트 유튜버들 대다수가 고딩때부터 운동하거나 10년차가 수두룩한데

그들이 하는 중량 및 퍼포먼스를 보고 자극받아서 막 따라하려는 헬린이들이 많은거같아요


저도 그런 헬린이 중에 하나였고, 그로인해 회전근개 부상을 당해서 아무리 치료해도 100% 원래상태로는

이제 불가능해보여요



중량이라는게 진짜 일정치가 도달하면 정말 2.5kg 올리는것도 힘든건데

막 무리해서 올리는 경향이 있는거같애요 ㅠㅠ


제가 요즘 운동 컨디션이 굉장히 좋고 집중이 잘되는데 느끼는게 아 중량올린다는게 정말 쉽지가 않구나

5키로는 커녕 2.5키로 단위도 정말 근육에 집중해서 쓰다보면 쉽지 않구나를 느낍니다..



예를들어서 체스트 덤벨 프레스를 30KG로 한다고 치면

해당 30kg로 10개를 겨우 간신히했는데 어느날은 8개가 겨우되고 어느날은 5개도 힘들고

또 어떤날은 9개가 겨우되고 이걸 거의 한달넘게 반복하다가

열심히 그래도 하다보면 어느순간 30kg 12개가 쑥쑥 밀리는??? 약간 그런거같아요

마치 우량주식을 키우는느낌? 우량주식이 막 전날 보다 떨어졌다가 어쩔댄 약간 올랐다가 다시 쑥 하고 떨어졌다가

하루하루 보면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하잖아요??

중량이 약간 그런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느끼는건

1. 무리해서 중량올리지말자 헬린이를 벗어나서 중급자만되어도 2.5키로 증량도 힘든게 맞다
2. 중량이라는게 주식과 같아서 어느날은 10회 겨우 반복했던중량이 8회도 힘들때도있고 6회도 힘들때도있지만
계속 하다보면 어느순간 12개가 수월하게 밀리는 날이 온다 그때 증량을 하자


요렇게 두개입니다 ㅎㅎ 제가 느낀바에서 혹시 오류가있을까요?
 
댓글15
(친구추천코드: 머슬마인드)
2023-03-31 15:41:09
1. 무리해서 중량올리지말자 헬린이를 벗어나서 중급자만되어도 2.5키로 증량도 힘든게 맞다
-> 빙고

2. 중량이라는게 주식과 같아서 어느날은 10회 겨우 반복했던중량이 8회도 힘들때도있고 6회도 힘들때도있지만
계속 하다보면 어느순간 12개가 수월하게 밀리는 날이 온다 그때 증량을 하자
-> 빙고
(친구추천코드: 공부하는트레이너)
2023-03-30 18:18:57
안녕하세요 공부하는트레이너 입니다
1. 무리해서 중량올리지말자 헬린이를 벗어나서 중급자만되어도 2.5키로 증량도 힘든게 맞다
->조금씩 올리는게 힘든거 맞습니다 지금부터 올리기 위해서는 운동을 더욱더 바르게 하는 연습을 하시는게 더 맞으실거 같습니다
2. 중량이라는게 주식과 같아서 어느날은 10회 겨우 반복했던중량이 8회도 힘들때도있고 6회도 힘들때도있지만
계속 하다보면 어느순간 12개가 수월하게 밀리는 날이 온다 그때 증량을 하자
->괜찮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상급자의 운동세트를 진행하는것도 좋으실거 같습니다 머신을 먼저 활용을 하셔서 드랍세트나 트라이세트 자이언스세트를 이용을 해보시고 이후에 체력과 근력을 더 길러보시는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이러한 세트들에 적응이 되면 몸은 더 강해져 있으실겁니다
(친구추천코드: 문영91)
2023-03-28 21:10:27
파워리프팅에 방법이랑은 아무래도 다르기떄문에 그냥 중량을 올리는거는 많이 힘들죠
(친구추천코드: 영양술기쌤)
2023-03-28 11:21:21
공감되는 말인 것 같습니다.
자신이 컨트롤 할 수 있는 무게와 그에 맞게 증량 타이밍을 잡는 것이 가장 좋고 가장 이상적인거 같아요

아마 대부분의 모든 유튜버들이나 운동관련 칼럼을 쓰시는 분들이 그걸 몰라서 중량에 강조를 하시지는 않는 것 같아요.,
대부분의 운동 하시는 분들은 중고급자가 아니라 초보분들이 많기 때문에
자극을 제대로 주지 못해서 저중량으로인한 정체가 일어나느거보다는 큰 중량을주면서 정체를 부수는 방식으로 전달하는게 강한 것 같구요

확실히 보디빌딩과 리프팅은 많이 다른 개념인 것 같습니다.
보디빌딩관점에서 운동하는건 확실히 너무 어렵고 어렵습니다.. 리프팅은 그에 비해 쉬운 것 같구요..

중량만 올리는건 개인적으로 쉬우나. 보디빌딩관점에서 중량올리기는 매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역대급발전
(친구추천코드: LUOZ-18)
2023-03-28 21:04:17
@영양술기쌤 네 맞아요 보디빌딩식으로 마인드머슬커넥션 집중하면서 근육 긴장 안풀리게끔

최대한 하려고하면 중량이 정말 확 낮아집니다 ㅠㅠ
(친구추천코드: 꿀곰)
2023-03-28 11:09:11
2번 같은 경우는 피로도 조절을 못하거나 컨디션 조절을 못하신겁니다ㅎㅎ
저렇게 운동 강도가 들쭉 날쭉 하면 증량 속도가 엄청 늦습니다
80~85프로 중량에서 충분히 볼륨을 쌓고 중량을 아주 조금씩 올리면 어느정도 선까지는 지속적인 퍼포먼스 상승이 가능합니다.
역대급발전
(친구추천코드: LUOZ-18)
2023-03-28 21:03:48
@꿀곰 제가 2번이 되게 심합니다

컨디션이 항상 들쭉날쭉한데

매번 운동을 실패지점까지 항상 하다보니 이런거같애요 ㅠㅠ
(친구추천코드: 우먼파워)
2023-03-28 11:02:38
안녕하세요 우먼파워 입니다
1. 무리해서 중량올리지말자 헬린이를 벗어나서 중급자만되어도 2.5키로 증량도 힘든게 맞다
->네 맞습니다 어느수준까지 올라가면 2.5kg가 아니라 100g을 올리는것도 어렵습니다 실제로 역도선수를 보시면 알겁니다 1k을 더 들어올린다라는게 매우 어렵습니다 그만큼 엘리트 선수분들은 100g때문에 들고 못들고가 나오기도 합니다 지금 2.5kg면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상대적인 부분일수도 있지만 기준을 자신을 기준으로 잡으시면 될거 같습니다

2. 중량이라는게 주식과 같아서 어느날은 10회 겨우 반복했던중량이 8회도 힘들때도있고 6회도 힘들때도있지만
계속 하다보면 어느순간 12개가 수월하게 밀리는 날이 온다 그때 증량을 하자
->8~12RM의 법칙을 지켜주셔도 될거 같습니다 12개가 가능하면 8개의 무게를 설정하고 이걸 연습하면서 다시 12개를 만들어 내는 연습을 꾸준히 하시다보면 만들어집니다 그때에 중량을 올려보는 시도를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안정성에 있어서도 매우 좋으며 근비대에 있어서도 좋습니다

사람의 심리가 꾸준히 하는게 생각보다 어렵고 잘들리고 컨디션이 좋을때에 오버트레이닝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게 나의 평상시 컨디션 그리고 내가 가지고 있는 능력이라고 생각을 하고 컨디션이 나쁠떄에도 그렇게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량주 비유를 너무 잘해주신거 같아요 맞습니다 우리의 몸은 어느하나만 가지고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우량주를 보면 그 회사의 이미지 성과 판매실적 그리고 개개인의 법적인 문제들에 따라서도 좌지우지 되는게 많으며 파트부분들도 많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신체가 더욱더 복잡한 신체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이렇게 코멘트를 드려봅니다

접근법 괜찮으시니 그대로 진행하시면서 꾸준히 발전하시길 바래요
역대급발전
(친구추천코드: LUOZ-18)
2023-03-28 21:03:25
@우먼파워 답변감사합니다

접근법이 괜찮다고하시니 안심이 되네요 ^^
(친구추천코드: 풀스쿼트)
2023-03-28 09:33:33
개인적으론 상당히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헬스 초보들이 보고서 뭔가 쉽게 느낄 수 있는 글이네요
스스로 경험하고 체득한 것인데 과연 오류가 있을까요? ㅎㅎ
적어주신 내용이 책에 한줄로 열거된 정의나 논리는 아니지만, 오히려 역대급발전님께는 딱 들어맞는 정답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저도 공감하는 내용이 많고요

저는 결국 이게 항상 강조하던 꾸준함의 중요성, 꾸준해야 느낄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사람마다 발전의 속도나 기본 베이스가 달라서... 꼭 저렇게 하향 상향을 반복하며 점진적으로 우상향 하는, 그런 발전은 안겪을지도 몰라요
너무 운동을 잘해서 정체기 없이 항상 달려나가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어떤 사람은 무한히 정체 되고 포기하는 사람도 있겠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꾸준히 수행 했기 때문에 개수가 떨어지다가도 다시 올라가고, 어느 순간 증량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굉장히 잘 하고 계신 거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ㅎㅎ

물론 딱 12개에 증량을 하자!!! 이건 사람마다 다른 부분이라서 뭐...
근데 본인이 그렇게 발전을 했다면 그것도 아주 좋은 방법인 겁니다.
본인이 스스로 체득하고 결과물을 봤다면, 자신감 있게 하세요 본인에게는 그게 정답이고 바이블이 될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 수많은 선수들마저 운동 가르치는 팁은 다른 부분이 꽤 있으니까요
틀린게 아닙니다.

증량 자체에만 너무 매몰되지 않으시면 계속 발전하실 것 같습니다.
파이팅

역대급발전
(친구추천코드: LUOZ-18)
2023-03-28 21:02:49
@하체져앙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

동감해주시니 나의 길과 깨달음이 틀리지 않고 올바르게 가고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친구추천코드: LRIA-60)
2023-03-27 18:04:49
강경원님이 벤치 일정수준드는데 10년넘게 걸렸다고 하셨습니다 프로들도 올바른자세에서의 증량은 매우힘들고 더딥니다 일반인이면 더더딘게 맞습니다, 올바른자세로 무리하지않으며 운동하시면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되어있기에 조급해하지마시고 열심히 진행해보세요.
역대급발전
(친구추천코드: LUOZ-18)
2023-03-28 21:02:28
@잦은부상헬린이 강경원님 말씀이 갈수록 이해가갑니다
(친구추천코드: 아들이야너)
2023-03-27 16:19:00
맞습니다
중량을 올리는건 매우 매우 더디고 사실상 체급에 따른 혹은 타고난 몸의 내구력과 신체능력에 영향을 받습니다
종종 중량 자체에만 매몰되어 파워리프팅도 아닌 보디빌딩도 아닌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도 많죠

두번째 말씀은 개인적으로 좀 다르게 생각합니다
일단 내가 다룰 수 있는 한계치의 중량은 날마다 편차가 생기는게 당연합니다
역도선수들도 수십년 운동해도 개인기록을 항상 갱신하진 못하죠
하지만 적어도 12개 정도 다루는 정도의 중량은 한계치라고는 볼 수 없어서 컨디션차이로 수행능력이 반토막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는 흔치 않았습니다
특히 운동 경력이 길어질 수록 그정도 중량은 외부적인 영향도 크지 않다고 느낍니다
어디서나 짬을 무시 못한다는게 그런 부분 같습니다

추가로 개인적인 경험으로 12개를 가능하게 되면 증량한다는 계획은 나쁘다고 보진 않습니다만 혼자서 운동하는 경우 항상 통하는 공식은 아니었습니다
운동 초기엔 제법 잘 맞아들어가는 방법이지만요
사실상 고중량으로 갈수록 12개가 가능해지는 기간이 너무 길어집니다
몇 달 몇 년이 걸릴 수도 있고 그중간에 제풀에 꺾이기도 하죠
때문에 저는 자신있으면 일단 한 번 증량해서 들어보시라고 권합니다
10개 정도 한셋트 가능하면 그다음 중량으로 2,3개는 가능한데 그 중량을 막상 들어본 것과 머리로 생각만 하는건 차이가 크죠
그리고 스트렝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더 도움될 수 있고요
저는 그것보다는 오히려 협응근 강화에 초점을 바꾸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제 경우 가슴운동 중량을 올리면 가장 먼저 어깨가 받는 부하가 훨씬 더 커지는 느낌을 받기 때문에 가슴운동 증량에 앞서 어깨와 삼두를 더 강하게 만들어보는 기간을 갖습니다

사실 이런 것도 운동 몇 년차쯤까지는 즐거운일이나 차츰 나이가 들면 운동을 하는 행위 자체에만 집중하는 편입니다
오늘은 중량 좀 내려서 셋트당 20개씩 한번 해보기도 하고 셋트수를 왕창 늘리기도 하고 그런 짓도 하죠

우량주에 비유하신 부분은 좋은 비유라고 봅니다
힘이 있는 주식은 시장이 흔들려도 큰 영향을 덜 받죠
마찬가지로 내 신체 능력도 외부 요인에 큰 영향을 덜 받게 되도록 만들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역대급발전
(친구추천코드: LUOZ-18)
2023-03-28 21:02:16
@아들이야너 좋은답변 감사합니다 ㅠㅠ

저는 컨디션이 너무 들쭉날쭉해서 그런지

10개 했던거 어떤날은 5개도 힘들고 그러더라고요 ㅠㅠ
Ptksm741
2023-06-07
45
춘봉쓰
2023-06-07
53
몸짱헬린
2023-06-07
69
채율아빠
2023-06-07
78
꾸쿠르삥뽕빵삥뽕
2023-06-07
68
보비디보비디
2023-06-07
177
보비디보비디
2023-06-06
93
이기호123
2023-06-06
111
대구헬린
2023-06-06
80
피스피스
2023-06-06
135
나도간다하와이
2023-06-06
127
찌르레기
2023-06-06
102

댓글의 답변글 작성

댓글 수정

차단하시겠어요?

이 회원이 현재 게시판에서 쓴 글과 댓글이 보이지 않습니다.

Scroll to Top